팩트폭격, 역발상 투자법
세계 1등 투자법이 좋은 이유는 무엇인가?
액티브 자금에서 패시브 자금(S&P500지수 등의 ETF 투자)으로 바뀌면서 패시브 자금의 1등주 비중이 늘어나서 수익률이 좋기 때문이다.
패시브 자금이 늘어난 이유는 무엇인가?
자금의 성격이 늙었기 때문이다.
시간이 가면서 베이비부머들이 많이 늘었고 이들은 안정적인 수익을 원하기 때문에 지수 추종 투자를 한다.
각국의 연금펀드들의 자금도 늘어나고 있는데 개별주 보다는 지수추종을 주로 한다.
그리고 또 하나의 이유는 패시브 투자가 액티브 투자보다 수익률이 좋기 때문이기도 하다.
워렌버핏과 헤지펀드의 내기에서 워렌버핏의 S&P500지수 투자가 헤지펀드들의 투자수익을 압도하지 않았나?
그러니 연금펀드들은 고민할 것 없이 지수투자를 한다.
연금펀드들은 지수투자 이외에 채권 투자도 한다.
그러나 채권은 제로 금리로 가니까 채권투자를 하면 수익률이 그다지 좋지 않다.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주식 VS 채권의 비중을 6대4정도로 주식을 더 크게 가져가고 있다.
지수투자 비중이 늘어나니 세계1등 주의 비중이 더 커질 수밖에 없다.
지수는 시가총액 비율로 담아야 1등 주의 비율은 더 크게 늘어난다.
미국 주식은 든든한 뒷배가 있다.
주가 떨어지면 연준이 끌어 올려준다.
그린스펀 때까지만 해도 안 그랬는데 버냉키 이후 주가 떨어지면 연준이 벌벌 떠는 경향이 있다.
2008년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주가 박살이 나니 포워드 가이던스(미리 연준의 금리정책 등을 알려주는 행위)를 하면서 아주 시장에 친절하다.
떨어지면 양적완화, 제로금리를 하면서 주가 떨어지는 것을 적극적으로 방어해 준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미국 주식시장에 한해서다.
신흥국 시장은 금, 원자재, 원유 등의 시장과 매한가지다.
떨어지건 말건 연준은 신경 안 쓴다.
반대로 한국은행은 주가 떨어지는데 금리 올리고 있다.
미국 같았으면 금리 발짝이 일어났을 일이다.
그러니 미국주식을 해야 하고 미국주식에는 세계1등 주식이 들어가 있으니 당연히 세계1등 주식이 주가가 좋다.
연준이 만들어낸 저금리는 주식, 부동산 시장으로 들어간다.
자금유입이 꾸준히 되니 미국주식은 변동성이 작다.
그러나 한국 주식은 변동성이 어마어마 하다.
따라서 멘탈 약하면 한국주식 갖고 버티기가 힘들다.
결국 이렇게 만든 저금리로 주식과 부동산 시장으로 자금이 몰리면서 버블을 만들어 낸다.
미국 주식은 성장성이 있다.
미국은 전세계 GDP에 30%를 차지하고 있으나 시가총액은 50%,가 넘는다.
자국 편향알수도 있지만 그것은 성장주. 유망주가 많아서 일수도 있다.
원래 가치주가 많으면 밸류에이션을 안 쳐주지 않는가?
은행주는 PBR이 0.5정도 밖에 안 된다.
성장이 없으니 이렇게 PBR이 낮은 것이다.
반면에 미국은 혁신을 통해 성장주를 만들어내고 있으니 당연히 PER가 높고 돈은 가치주보다 성장주에 몰리니 전세계 시가총액에 50%가 넘는 것이다.
한국의 국민연금은 한국의 비중을 줄이고 미국의 비중을 늘리고 있다.
한국의 국민연금도 팔아 제끼니 주가가 튀어 오를 수가 없다.
투자의 구루들은 얘기한다.
포트폴리오 분산해라.
헤지 차원에서 얘기하는 것이다.
어느 주식이 망할지 모르니 말이다.
그래서 몰빵 투자는 위험하다 한다.
그러나 나는 1등 주식에 몰빵치고 헤지는 주식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리밸런싱과 말뚝박기로 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한다.
여기서 팩트 폭격 들어가겠다.
미국에 투자했던 사람들은 대부분 양도세를 냈을 것이다.
양도세를 낼 때 종목도 나온다.
작년에 투자했던 종목들의 수익률을 전부 더해보자.
그리고 1등 주식인 애플의 수익률과 비교해 보자.
1등 주식인 애플보다 수익률이 떨어진다면 당신의 투자법은 1등을 못 이긴 것이다.
그러니 1등 주식 이외의 주식은 다 팔고 1등에 집중해라.
아마도 대부분 애플은 커녕 S&P500지수의 수익률도 못 이겼을 것이다.
국내주식을 하면 양도세를 내지 않는다.
그러니 국내주식의 작년 수익률을 뽑아 더해보자.
그리고 1등 주식과 비교해보자.
그리고 1등 주식보다 못한다면 다 팔아라.
오랫동안 주식을 했다면 최근 5년간 자료를 뽑아서 1등과 비교하자.
그러면 더 뚜렷해질 것이다.
최근 5년간 애플은 약 500% 가까이 올랐다.
날고 기는 헤지펀드도 애플의 수익률 못 따라간다.
한 종목에 몰빵한만큼 떨어질 위험은 항상 상존한다.
2011년도에 애플은 2등과 순위바뀜 없이 나스닥 -3% 없이 혼자서 45% 추락했다.
그러니 리밸런싱과 말뚝박기는 필수다.
헤지는 다른 주식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리밸런싱과 말뚝박기로 한다.
세계1등 주식에 몰빵해라.
시간이 한 없이 넘칠 것이다.
그 시간을 인생을 즐기는데 쓰자.
인생은 짧다.
결론 : 이것이 팩트폭격 역발상 투자법이다.
이것을 늦게 깨달을수록 당신의 소중한 인생은 돈을 벌지도 못할 잡주분석과 수익률 하락으로 돈과 정력이 낭비된다.
'JD부자연구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칼럼] 부자가 되려면 애플에 투자하라|작성자 세종대 경영학 김대종 (0) | 2021.11.03 |
---|---|
만약 한 번 뿐인 삶을 산다면 (0) | 2021.10.27 |
시장을 이기는 방법 (0) | 2021.08.08 |
파이코인 - 시간 경과에 따른 개척자 수의 증가 (0) | 2021.07.26 |
장기투자 하기에 좋은 주식(Feat.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0) | 2021.07.15 |
댓글